본문 바로가기
식품_FOOD

곡류의 종류와 특징

by 돼지감자야 2022. 11. 9.
반응형

글을 시작하며

공기 없이 3분, 물 없이 3일, 음식 없이 30일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항상 식품을 먹으며 에너지를 보충하기 때문에 식품은 살면서 우리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적이라는 비유적인 말이다. 앞으로 식품에 대한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면서 더 건강한 식탁을 꾸릴 수 있기를 바란다.

 

 

곡류의 분류

식품은 크게 식물성 식품과 동물성 식품으로 나눌 수 있다. 식물성 식품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곡류, 전분류, 채소류, 해조류, 과실류, 버섯류, 두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로 존재한다. 곡류는 다시 미곡, 맥류, 잡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미곡에는 대표적으로 쌀이 있고, 맥류에는 보리, 밀, 귀리, 호밀 등이 존재하며, 잡곡에는 옥수수, 조, 수수, 율무, 메밀 등이 있다.

 

 

쌀은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일년생 초본식물이다. 왕겨와 현미로 나눌 수 있다. 현미를 도정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백미가 된다. 벼의 품종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단립형과 장립형으로 나뉜다. 단립형의 특징으로는 쌀알이 짧고 둥글둥글하며 밥에 끈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립형은 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소비가 많이 된다. 장립형의 특징으로는 쌀알이 가늘고 길며 탈곡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립형과 다르게 밥에 끈기와 찰기가 부족하다. 주로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인도에서 소비된다. 쌀의 약 80%는 전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쌀의 주단백질은 오리제닌이다. 최근에는 쌀가루를 이용한 제과제빵과 다양한 요리에도 활용할 수 있는 레시피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보리

이제 맥류에 속하는 보리의 특징을 알아보겠다. 보리는 겉보리와 쌀보리로 나눌 수 있으며 다시 겉보리와 쌀보리 각각 2조 보리와 6조 보리로 나눌 수 있다. 2조 보리는 맥주용으로 사용되고, 6조 보리는 식용이나 엿기름으로 이용된다. 보리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보리 안에 75% 정도 함유되어있다.

 

 

밀은 세계 곡물 생산량에서 2위를 차지할 정도로 그 생산량이 아주 많다. 재배면적은 모든 작물 중 최대 재배 면적을 갖고 있다. 각종 빵, 과자, 국수 등에 빠짐없이 들어가는 원료이다. 단백질 함량에 따라 케이크용 밀가루, 다목적 밀가루, 제빵용 밀가루 등으로 나누어 사용된다. 밀은 단백질로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어 글루텐 알레르기나 셀리악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호밀

호밀은 토양이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이 있고 내한성이 강하여 추운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따라서 북방지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호밀은 위스키와 보드카의 원료이기도 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러시아에서 전 세계 호밀의 60%가 재배되고 있다.

 

 

귀리

귀리는 주로 중앙아시아 지역과 북아메리카. 중국, 유럽 남부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때부터 재배되었다. 귀리는 주로 가축의 사료로 많이 사용된다. 요즘에는 납작하게 도정하여 오트밀로 만들어 죽, 과자, 귀리 우유로 만들어 먹는다.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 귀리는 칼슘 함량이 현미의 4배이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효과적으로 낮춰주어 심혈관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혈당을 느리게 올려주어 당뇨가 있는 사람들이 먹기에도 적합하여 최근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잡곡류의 분류

이제 잡곡류들의 특징들을 알아보겠다.

 

 

 

옥수수

옥수수는 밀, 벼와 함께 세계 3대 작물이다.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많고 재배 방법도 어렵지 않아 사료로 널리 이용된다. 페루 남부에서 약 10,000년 전 원주민에 의해 처음 경작되었다. 옥수수에 들어있는 메이신이라는 성분은 항산화 및 항암 작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옥수수수염 차에도 메이신이 함유되어 있어 차로 마시면 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식품으로는 면으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고 차, 팝콘, 기름, 시럽 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된다. 옥수수는 식품 외에도 바이오 연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에탄올 95l를 만드는 데에 한 사람이 1년 동안 섭취 가능한 양이 소비된다고 한다.

 

 

 

조는 차조와 메조로 나눌 수 있다. 쌀과 같이 밥을 지어 잡곡밥에도 들어간다. 새의 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수수

수수는 세계에서 4번째로 중요한 곡식으로 메수수와 찰수수로 나눌 수 있다. 가축용 사료로도 이용된다.

 

 

 

율무

율무는 벼과의 한해살이풀로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주로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이뇨, 진통, 진경, 강장 작용이 있어 신경통, 류머티즘 질환, 방광결석 등의 약재로 쓰인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주로 쓰이고 뿌리는 약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한약재로 쓰일 때는 의이인으로 불린다. 주성분으로는 전분이 대부분이며 찰기를 띤다. 정백하여 죽으로 조리하거나 가루로 빻아 떡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메밀

메밀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생육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병충해가 적다. 황무지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되고 있는 작물이다. 서늘하고 습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꿀이 많아 꿀벌의 밀원 식물이 되기도 한다. 옥수수 다음으로 재배면적이 넓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고르게 재배되고 있다. 단 메밀과 쓴 메밀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단 메밀을 주로 재배하고 있다. 단 메밀은 메밀국수, 묵, 전병, 부침, 빵 등에 이용된다. 쓴 메밀은 쓴맛을 줄이기 위하여 다른 잡곡과 섞어서 사용된다.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다양한 곡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우리가 주로 먹는 쌀 외에도 수많은 곡류가 존재한다. 이 곡류들의 특성을 통해 본인에게 잘 맞는 곡류를 선택하여 쌀 이외에도 다양하게 먹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식품_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레늄의 5가지 효능과 부작용  (0) 2022.11.15
대체 우유의 종류와 특징  (0) 2022.11.11
과채류의 종류와 특징  (0) 2022.11.08
장과류의 종류와 특징  (0) 2022.11.03
해조류의 종류와 특징  (0) 2022.11.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