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국에 담긴 사랑
우리나라에서는 생일이 되면 미역국을 끓여주는 전통이 있다. 생일날 누군가가 나를 축하해주기 위해 정성스럽게 끓인 미역국을 한 입 먹을 때의 감동과 그 맛은 잊을 수 없다. 우리는 이런 미역과 같은 것들을 해조류라고 하는데 오늘 글에서는 해조류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미역
맨 처음으로 미역에 대해 알아봅시다. 미역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역과의 갈조류로 식물이 아닌 원생생물에 속한다. 최근 미역은 지구온난화를 늦추어 줄 수 있는 식물로도 유명한데 미역이 바닷속의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을 하기 위해 흡수하면서 자라기 때문에 우리가 미역을 많이 소비할수록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착한 소비자로 거듭날 수 있다. 이는 미역뿐 아니라 김,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도 탄소를 저장하며 자라기 때문에 많이 소비할수록 지구에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역을 어떤 방법으로 다양하게 섭취할 수 있을까? 우리는 미역국, 미역무침, 미역볶음 등으로 섭취하는데, 미역국은 고기, 생선, 전복 등 무궁무진한 재료가 들어갈 수 있어 질리지 않고 다양하게 먹을 수 있다. 미역무침도 식초를 넣어 상큼하게 초무침으로 해 먹어도 맛이 아주 좋다. 미역볶음에는 들깻가루를 넣으면 아주 맛있는 반찬이 될 수 있다. 미역의 효능은 아주 다양한데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미역은 산모들이 아이를 낳으면 많이 먹는 대표 음식이다. 미역에 풍부하게 함유된 요오드와 철분이 혈액 생성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또한 젖 분비를 용이하게 하여 산후조리 시에 먹으면 아주 좋은 음식 중에 하나이다. 앞서 말한 철분 성분이 빈혈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다이어트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좋은 식품인데 그 이유는 칼로리가 100g당 10kcal로 굉장히 낮은 편에 속하면서 포만감은 줄 수 있는 식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미역의 식이섬유가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하게 도와주어 다이어트 시에 잘 생기는 변비도 예방해 줄 수 있다. 또한 미역의 끈적끈적한 물질인 알긴산이라는 성분이 체내의 중금속을 원활하게 배출해주어 몸을 해독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몸에 좋다고 너무 과다하게 섭취하면 요오드의 체내 함량이 높아질 수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김
다음으로는 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김은 세계적으로도 많이 수출되는 대한민국의 특산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짭짤하면서도 고소한 김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다양한 연령대와 외국인의 입맛까지 사로잡은 식품이다. 우리에게는 어린 시절 소풍 가는 날 소중한 사람이 싸 준 김밥의 맛이 향수로 맘 한편에 놓여있다. 필자는 요즘에 유행이었던 당근 김밥을 만들어 먹어보았는데 그 맛이 아주 좋았다. 또한 김은 마땅히 먹을 반찬이 없을 때 밥에 싸 먹으면 아주 좋은 반찬이 된다. 또한 국에 김을 넣은 김국이라는 음식이 있는데 굉장히 고소하고 추울 때 먹으면 별미이다. 김무침으로도 먹기도 하는데 새콤하게 하여 먹으면 입맛을 찾을 수 있다. 김부각도 굉장히 고급 음식인데 기름에 튀겨 먹으면 겨울 간식으로 손색이 없다. 김 역시 다양한 효능이 있다. 차례대로 알아봅시다. 김 역시 100g당 칼로리가 19kcal 정도로 높지 않아 다이어트 시에 좋은 반찬이 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 해소를 도와주고 면역력을 올려준다. 또한 철분과 엽산 성분이 풍부하여 빈혈을 예방하는 데 아주 좋다. 하지만 김은 찬 성질의 식품이므로 몸이 차가운 사람은 과다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과다 섭취 시 갑상선에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마
다음으로 다시마에 대해 알아봅시다. 다시마는 갈조강 다시마목에 속한 바닷말이다. 미역과 비슷한 듯하지만 다르다. 다시마는 바다의 야채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풍부한 식이섬유, 셀레늄, 칼슘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마 역시 다른 해조류들과 마찬가지로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아주 좋은 음식이다. 알긴산이라는 성분 역시 다시마에도 풍부하게 들어있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고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해 주기 때문에 당뇨를 앓고 계신 분들에게도 좋은 음식이다. 또한 탈모를 예방해주는 성분들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탈모 예방에 좋은 식품 중에 하나이다. 요즘에는 샴푸에도 다시마의 성분들을 추출하여 비건 샴푸로도 주목받고 있다고 한다. 필자는 다시마를 데친 뒤에 초장에 주로 찍어 먹는 데 이 방법 외에도 다시마 쌈밥, 다시마 채 무침 등으로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다시마 역시 차가운 성질의 식품이므로 몸이 차가운 사람들은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매생이
마지막으로 매생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필자는 얼마 전 한 식당에서 매생이 리소토를 먹었는데 굉장히 맛이 좋아 놀랐던 기억이 있다. 집에서도 해 먹어 보고 싶은 맛이었다. 독자 여러분들도 매생이 리소토를 꼭 한번 잘하는 식당이나 직접 해서 먹기를 추천해 드린다. 매생이는 갈매패목의 녹조류의 식물로 머리카락보다 가는 것이 특징이다. 파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식품이다. 매생이도 해조류이므로 역시 빈혈과 변비에 효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뼈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매생이 역시 다양한 요리가 있는데 굴국, 매생이 전, 매생이 죽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겨울철 별미로 인기가 많은 식품이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여러 가지 해조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해조류를 다양하게 섭취하면서 우리의 몸도 지키고 나아가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데에 한 발짝 동참하는 여러분이 되었으면 좋겠다.
'식품_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채류의 종류와 특징 (0) | 2022.11.08 |
---|---|
장과류의 종류와 특징 (0) | 2022.11.03 |
핵과류의 종류와 특징 (0) | 2022.11.02 |
견과류의 종류와 특징 (0) | 2022.10.28 |
인과류의 종류와 특징 (0) | 2022.10.24 |
댓글